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Search

Article

Korean J Obes 2015; 24(2): 118-119

Published online June 30, 2015 https://doi.org/10.7570/kjo.2015.24.2.118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Vitamin D Status and Its Relation with Abdominal Adipo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Korean Adults in Certain Areas (Korean J Obes 2015;24:30-5)

A Lum Ha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Correspondence to:
Corresponding author A Lum Ha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o, Iksan 570-749, Korea Tel +82-63-859-1301 Fax +82-63-859-1306 E-mail qibosarang@naver.com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비타민 D는 골대사에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최근에는 비만과 심혈관 질환과의 상관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 이런 동향에 맞추어 364명의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와 비만지표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을 본 이번 연구에서는 체내 비타민 D의 농도와 내장지방면적과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일부 심혈관질환 위험 요소와의 연관성을 볼 수 있었다.3

독자 투고의 조언에 따라 남녀별 비타민 D 충분/부족/결핍 비율을 다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25(OH)D 농도 30 ng/mL 이상의 비율이 3.6%, 2.6%로 남성에서 높고, 21-29 ng/mL 사이의 비율도 87.9%, 70.3%로 남성에서 높았다(P<0.001).

독자 투고의 조언에 따라 남성과 여성에서 복부지방의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남녀 따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여성에서 25(OH)D 농도와 피하지방면적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추가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 25(OH)D 농도와 심혈관질환 위험도와 상관성을 남녀 따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남녀 모두 공복혈당의 P값이 0.05 근처에서 관련성이 없었고, 당화혈색소는 남자에서만 관련성이 있었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남자만 관련성이 있었고, 저밀도콜레스테롤은 관련성이 없었다(P<0.05).

Table 1 . Relations between 25(OH)D concentrations and obesity factors in men and women*.

25(OH)DβP value95% CI
Variables
Men
 VAT-0.7330.045-1.451 ~ -0.015
 SAT-0.3940.508-1.568 ~ -0.779
 Waist circumference0.1580.077-0.017 ~ 0.332
 BMI0.0250.429-0.037 ~ 0.086
Women
 VAT-0.8330.027-1.569 ~ -0.098
 SAT-2.1440.007-3.685 ~ -0.603
 Waist circumference-0.0780.392-0.256 ~ 0.101
 BMI-0.0400.255-0.110 ~ 0.029
P value was taken by multiple regression test.25(OH)D, 25-hydroxyvitamin D; VAT, visceral adipose tissue; SAT, subcutaneous adipose tissue; BMI, body mass index; CI, confidence interval.

*Adjust for age, season.


독자 투고의 언급대로 복부지방량이나 분포에 영항을 줄 수 있는 약제인 thiazolidinedione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대상 중 당뇨 환자가 소수였고, 모두 당뇨의 초기 단계로 metformin을 복용 중이어서 고려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Statin 관련 몇몇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에서 인슐린 저항성에는 연관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4-6 그러나 Statin과 복부 지방의 축적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일부 동물실험7과 임상실험8에서 언급하고 있지만 아직 결론짓기는 부족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이를 일반화시켜 본 연구에 고려하기에는 적절치 않다고 생각되어 statin 복용군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가능성이 있는 약제에 대해 철저히 고려하지 않은 점은 차후 발전된 연구를 위해 수정 보완해야 할 사항으로 사료된다.

독자 투고의 언급에 따라 Tables 2, 3에서 계절을 모두 보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고찰에서 계절과 보충제를 고려하지 못했다고 기술한 점에 대해서는 심사 과정 중 수정된 내용을 미쳐 다시 수정하여 기술하지 못한 부주의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 결과, 체내 비타민 D의 농도와 남녀 복부지방량과는 상관성이 있어 보이고 일부 심혈관질환 위험요소와의 연관성도 관찰되었다. 즉 남성에서는 내장지방, 여성에서는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에서 비타민 D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사증후군 환자에서는 비타민 D의 농도를 확인하고 임상적으로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 대한 관심과 조언에 감사하며, 향후 이번 논문에서 미흡했던 점이 보완된 연구가 시행되길 바란다.

Relations between 25(OH)D concentrations and obesity factors in men and women*

25(OH)DβP value95% CI
Variables
Men
 VAT-0.7330.045-1.451 ~ -0.015
 SAT-0.3940.508-1.568 ~ -0.779
 Waist circumference0.1580.077-0.017 ~ 0.332
 BMI0.0250.429-0.037 ~ 0.086
Women
 VAT-0.8330.027-1.569 ~ -0.098
 SAT-2.1440.007-3.685 ~ -0.603
 Waist circumference-0.0780.392-0.256 ~ 0.101
 BMI-0.0400.255-0.110 ~ 0.029
P value was taken by multiple regression test.25(OH)D, 25-hydroxyvitamin D; VAT, visceral adipose tissue; SAT, subcutaneous adipose tissue; BMI, body mass index; CI, confidence interval.

*Adjust for age, season.

  1. Compston JE, Vedi S, Ledger JE, Webb A, Gazet JC, Pilkington TR. Vitamin D status and bone histomorphometry in gross obesity. Am J Clin Nutr 1981;34:2359-63.
    Pubmed
  2. Wang TJ, Pencina MJ, Booth SL, Jacques PF, Ingelsson E, Lanier K, et al. Vitamin D deficienc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08;117:503-11.
    Pubmed KoreaMed CrossRef
  3. Shin SR, Han AL, Park SH. Vitamin D status and its relation with abdominal adipo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Korean adults in certain areas. Korean J Obes 2015;24:30-5.
    CrossRef
  4. Ohmura C, Watada H, Hirose T, Tanaka Y, Kawamori R. Acute onset and worsening of diabetes concurrent with administration of statins. Endocr J 2005;52:369-72.
    Pubmed CrossRef
  5. Lalli CA, Pauli JR, Prada PO, Cintra DE, Ropelle ER, Velloso LA, et al. Statin modulates insulin signaling and insulin resistance in liver and muscle of rats fed a high-fat diet. Metabolism 2008;57:57-65.
    Pubmed CrossRef
  6. Krysiak R, Okopien B. Different effects of simvastatin on ex vivo monocyte cytokine release in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J Physiol Pharmacol 2010;61:725-32.
    Pubmed
  7. Aguirre L, Hijona E, Macarulla MT, Gracia A, Larrechi I, Bujanda L, et al. Several statins increase body and liver fat accumulation in a model of metabolic syndrome. J Physiol Pharmacol 2013;64:281-8.
    Pubmed
  8. Szendroedi J, Anderwald C, Krssak M, Bayerle-Eder M, Esterbauer H, Pfeiler G, et al. Effects of high-dose simvastatin therapy on glucose metabolism and ectopic lipid deposition in non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2009;32:209-14.
    Pubmed KoreaMed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