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Search

Article

Korean J Obes 2015; 24(1): 65-66

Published online March 30, 2015 https://doi.org/10.7570/kjo.2015.24.1.65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besity Indices and Level of Male Hormone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Korean J Obes 2014;23:245-9)

Mi-Hee K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 Hospital, Jeju, Korea

Correspondence to:
Corresponding author Mi-Hee K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 Hospital,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5 Aran 13-gil, Jeju 690-767, Korea Tel +82-64-717-1830 Fax +82-64-717-1581 E-mail mdoc74@daum.net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호르몬 농도는 감소하게 되는데, 남성호르몬 농도의 감소는 체지방률, 허리-엉덩이둘레 비 및 복부둘레가 증가하고, 근육량이 감소하는 상관관계를 보이게 된다.1,2 본 연구는 이렇게 알려져 있는 남성호르몬과 비만지표들의 관계를 연령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그 연관성이 연령대별로 혹 다르게 나타나지는 않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한 연구였다.

총 남성호르몬(total testosterone)은 약 43%가 성호르몬결합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실제로 생활성을 할 수 있는 남성호르몬(bioavailable testosterone)은 57% 정도로 그중 55%가 알부민에 약하게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2%만이 유리 남성호르몬(free testosterone)으로 구성되어 있다.3 연령이 증가하게 되면 SHBG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신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성이 가능한 남성호르몬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결국 연령증가에 따른 남성호르몬 감소의 신체변화는 생활성이 가능한 남성호르몬 감소가 주 원인으로 실제로 총 남성호르몬의 감소는 연령변화에 그리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따라서 독자투고에서 질의해 주신 본 연구에서 연령에 따라 유리 남성호르몬의 농도 감소는 관찰되었으나 총 남성호르몬의 농도 감소가 관찰되지 않는 이유는 총 남성호르몬 농도는 유리 남성호르몬과 비교하여 연령에 따른 감소 정도가 적은 편이라 156명이라는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연령에 따른 총 남성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기에는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독자투고에서 두 번째로 질의해주신 비만 여부에 따른 남성호르몬 농도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궁금함에 대해서는 위에 언급하였듯이 이미 많은 연구에서 남성호르몬 농도가 감소할수록 비만지표들의 유의한 변화들이 보고되었고,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부에 따른 호르몬변화를 보고자 한 것이 아니라 비만지표와 남성호르몬의 연관성이 연령대별로 관찰하였을 때 그 연관성이 어떠한 지를 살펴 본 것이라 본 연구로는 질의에 대한 답변이 되지 못해 추후 질의해주신 부분을 참조로 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추가로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보정은 매우 중요한 지적 사항으로 보이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와 고령에서 총 남성호르몬과 대부분의 비만지표들이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는데 만성질환에 많이 이환될 수 있는 고령대의 경우는 이를 고려한다면 다른 결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질의된 독자투고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에 의하면 비만여부와 상관없이 연령증가에 따라 남성호르몬이 감소되면 이에 대한 되먹이 기전으로 황체호르몬이 증가되는데, 그 평균값이 비만한 경우, 남성호르몬 농도가 비만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황체호르몬 또한 낮은 수치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지방세포에서 유리되는 에스트로겐, 렙틴 및 각종 사이토카인/아디포카인 등이 황체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한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6-8 본 연구에 대해 좋은 독자투고를 해주셔서 감사드리며 부족한 연구로 질의에 충분한 답변을 드리지 못했음을 아쉬워하며 추후 지적해주신 부분을 참조로 하여 보다 좋은 연구로 답변드릴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1. Mudali S, Dobs AS. Effects of testosterone on body composition of the aging male. Mech Ageing Dev 2004;125:297-304.
    Pubmed CrossRef
  2. Kim KY, Kang IS, Kang YG, Kim SL, Sin KK, Kim MJ, et al. The relationship among testosterone, IGF-1 and fat mass. J Korean Acad Fam Med 2003;24:245-53.
  3. S?derg?rd R, B?ckstr?m T, Shanbhag V, Carstensen H. Calculation of free and bound fractions of testosterone and estradiol-17 beta to human plasma proteins at body temperature. J Steroid Biochem 1982;16:801-10.
    CrossRef
  4. Morley JE, Patrick P, Perry HM. Evaluation of assays available to measure free testosterone. Metabolism 2002;51:554-9.
    Pubmed CrossRef
  5. Wu FC, Tajar A, Pye SR, Silman AJ, Finn JD, O'Neill TW, et al. Hypothalamic-pituitary-testicular axis disruptions in older men are differentially linked to age and modifiable risk factors: the European Male Aging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08;93:2737-45.
    Pubmed CrossRef
  6. Landry D, Cloutier F, Martin LJ. Implications of leptin in neuroendocrine regulation of male reproduction. Reprod Biol 2013;13:1-14.
    Pubmed CrossRef
  7. Mah PM, Wittert GA. Obesity and testicular function. Mol Cell Endocrinol 2010;316:180-6.
    Pubmed CrossRef
  8. Hill JW, Elmquist JK, Elias CF. Hypothalamic pathways linking energy balance and reproduction.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8;294:E827-32.
    Pubmed CrossRef